안녕하세요.
2019년부터 일본에서 직장을 다니고 있는 일본 직딩입니다.
여러분은 일본에서 직장 다니면서 월급을 받고 놀라셨던 적 없으신가요?? 분명히 입사할때 받기로 했던 월급과 실제 통장에 들어 온 월급이 너무 달라서 저는 월급 받고도 항상 찝찝해 했었습니다. 😭😭
한국에서도 분명 세금 떼이는 건 똑같은데
왜 이렇게 일본은 세후와 세전이 차이가 많이 나는 걸까요??(양아치들 ㅠㅜ)
오늘은 일본의 양아치 '세금'과 실제 세금이 떼이고 난 후 실수령액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볼려고 합니다.
일본에 일하러 오신 직장인과 워킹홀리데이 월홀러라면 꼭 숙지하고 계셔야 하는 이야기 입니다.
1.일본 세금의 종류는 어떤게 있어??
일본에는 한국처럼 정확이 세금을 몇%떼어간다라는 것은 없습니다. 월급과 사는 곳 또 회사에 따라 세금이 다 다르고 부양하는 가족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.
하지만 확실한 것은 혼자 사는 외노자(외국인 노동자)들은 세금을 엄청 뜯긴다는 거 입니다.
😭😭😭
일본에서도 여러가지 종류의 세금이 있지만 외국인 직장인들이 꼭 내어야 하는 필수세금은
소득세, 주민세, 건강보험, 후생연금, 고용보험 이 다섯가지 입니다.
저희 회사는 +노동조합비 까지 ㅠㅜ
일본에 내야하는 필수 세금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하자면
1)소득세 약 2-3%(혼자사는 외노자 기준)
소득세는 일본정부가 가지고 가는 세금이며 국가운영에 쓰입니다.(거기다 이번에 소비세마저 10%로 올랐습니다.)
2)건강보험 약 3-5%
국민건강보험에서 가지고 가는 세금이고 아플때 병원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드는 보험입니다.(세금 낸게 아깝지 않게 아프면 바로바로 병원 갑시다.)
3)후생연금 9%
연금기구에서 가지고 가는 세금이며 만 65세부터 연금을 받기 위해 내는 세금입니다. 선택이라고는 하나 직장 들어가게 되면 어쩔수 없이 필수로 내어야 하는 세금 ㅠㅜ(일본 고령화로 인하여 특히 가격이 많이 올랐습니다.)
4)고용보험 0.3%
후생노동성에서 가지고 가며 혹시 실업수당, 휴직수당이 이 세금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.
5)주민세 5-6%
각 지역의 지방 운영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에서 가지고 가는 세금입니다. (지역 거주 1년차 4월달부터 주민세가 빠져나갑니다.)
2. 그래서 실수령액 얼마?
지금액-공제액=월급
실수령액은 이런식입니다.
예로 일본의 급여명세서를 가지고 왔습니다.
일본은 월급을 받으면 이렇게 급여명세서를 종이형식으로 회사에서 줍니다.(항상 통장 확인하고 명세서 확인하면 한숨만 🌧🌧)

원래 급여(회가사 지급한 돈 )가 20만엔 인데 실수령액을 보니 163.740 엔으로 약 4만엔을 떼어 갔네요.
일본 직장인 1-3년차라면 약 4-6만엔 사시의 세금이 떼어져 갑니다. 😭😭 양아치들
하지만 호랑이 굴에 들어가도 정신만 차리면 살아남을수 있듯이 이 세금 양아치들에게도 돈을 덜 뜯길수 있는 방법들이 몇 있습니다.
다음에는 일본 양아치들에게 세금 덜 떼이는 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'일본에서 티끌모아 태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본직장/일본 사회 초년생 천만원 모을수 있을까?? (1) | 2020.11.03 |
---|---|
일본의 세금) 일본 직장인 절세하는 방법/ 세금 덜 내는 법- 기본편 (2) | 2020.02.10 |
일본에서 SM 오디션 통역 알바 (0) | 2019.11.04 |
일본에서 헌 책 팔기-BOOK OFF(북오프) (0) | 2019.11.04 |
(라인페이꿀팁)외화환전 70%off 와 환급 시스템 1 (0) | 2019.06.10 |
댓글